팀워크란?

2014. 12. 12. 10:38리더십

필자는 자동차부품 업체의 해외영업 책임자로 상당히 오랜 일한 적이 있었다.  다른 업종의 해외영업도 마찬가지겠지만 우리는 고객의 분포와 특성에 따른 직원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역별로 업무를 나누었다. 한데 모두 바쁘다보니 지역담당자는 자기 담당지역 외의 상황에는 신경쓸 시간이 없고 관심도 없어서 각 지역담당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등한이 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그러다 보면 비슷한 일을 중복해서 하기도 하고, 한 지역에서 일어난 사고가 다른 지역에서 재발되는 경우도 많아서 담당임원이나 팀장은 팀내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곤 했지만 팀원들 입장에서는 자기에게 직접적인 이익이 없고, 무엇을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 지 모르고, 상사의 입장에서 보아도 각 전문가들이 자기 맡은 일을 하고 있는데 일일히 세부적인 업무 수행방법까지 간섭할 수는 없는지라 어정쩡한 자세를 취할 수 밖에 없었다.


팀워크란 무엇인가?  축구나 농구 경기의 선수들은 각자 맡은 역할이 있지만 동료 선수들과 협조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없다.  여기서 팀워크는 누가 보아도 명확하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라이더 컵 같은 골프의 단체전을 보면 팀워크는 좀더 미묘하다.  포섬이나 포불은 동료선수의 경기에 따라서 자신의 플레이의 내용이 달라지지만 개인전의 경우에는 미묘하고 관찰이 어렵다. 하지만 분명히 일반 투어에서 혼자 경기하는 것과는 분위기가 다르고 다른 조에 플레이하는 팀동료의 성적에 크에 영향을 받는다.  각자 하는 일이 명확하게 구분된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에서의 팀워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그레고리 월튼(Gregory Walton)과 프리앙카 카(Prianka Carr)는 함께 일하는 분위기가 생산성과 동기부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그들은 시험에 참가한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격리된 방에서 혼자서 일련의 퍼즐을 풀도록 하였다.  한 그룹의 학생들 - 함께 하는 그룹 - 의 경우 참가자가 함께 퍼즐을 푸는 시험으로 학생들은 퍼즐을 푸는 과정에서 힌트를 만들어 감독자를 통하여 옆방에서 퍼즐을 풀고 있는 같은 팀의 다른 학생에게 보내거나, 다른 학생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메모를 보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다른 그룹의 학생 - 혼자 하는 그룹 - 에게는 퍼즐은 혼자 푸는 것이고 참가자는 퍼즐에 참가하지 않는 감독자들에게 문제의 힌트를 주거나 요청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런데 실제로는 두 그룹 모두 같은 방법으로 퍼즐을 풀게하였다. 함께 하는 그룹의 힌트나 도움의 요청도 모두 감독자가 임의로 처리하여 두 그룹 모두 퍼즐을 푸는 과정에서 학생들간의 교류는 없었다.


테스크의 결과는 함께 하는 그룹이 48% ~ 64% 더 오랜 시간 재미없는 퍼즐을 풀었고, 퍼즐에 대한 흥미도 높았다. 함께 하는 그룹은 퍼즐을 푸는 동안 피로도가 낮았는데, 시험 참가 후 각자 일상으로 돌아간 후에도 동료 혹은 친구들과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한 관심도가 더높았다.  이 테스트는 자신이 어떤 팀의 일원이라는 느낌만으로도 심리적인 안정을 향상시키고 도전에 대한 동기부여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월튼은 그룹으로 일하는 것이 항상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의한다. 그룹에서 무언의 압력이 행사되거나, 자신의 기여가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는 동기와 생산성의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이 테스트의 결과를 현업에서 활용한다면 조직원들이 함께 한다는 생각을 가질 때 전체적인 동기와 생산성은 향상되고, 조직원들로 하여금 그런 느낌을 갖게하기 위해서 거창하고 복잡한 프로세스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상사가 조직원들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작은 행동을 통해서 이런 관심을 표시하고 서로 소통하는 기회를 만들어 준다면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고 한편으로 상사는 세심한 관찰을 통하여 팀원간의 과도한 경쟁이나 그룹내 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면 작은 노력으로 훌륭한 성과를 내는 팀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동기 요인  (0) 2014.12.15
과정의 투명성  (0) 2014.12.13
AAR (After Action Review)  (0) 2014.12.11
성공하는 사람들의 스트레스 대응법  (0) 2014.12.10
성과의 목표와 학습의 목표  (0) 201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