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사람들의 스트레스 대응법

2014. 12. 10. 10:49리더십

모든 직장인은 정도는 다르지만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감당해야 한다.  스트레스에 놓인 사람은 자기조절 능력이 저하되어서 충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그리고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고혈압, 당뇨, 비만, 우울증, 인지장애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간헐적인 적당한 스트레스는 몸의 활력을 높이고 기억력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Emotional Intelligence 2.0'의 저자인 미국의 브래드버리(Travis Bradberry)는 백만명 이상의 미국 직장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90% 이상의 성공한 직장인들에게는 그들 나름대로의 스트레스 방지법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래에 소개하는 내용은 가장 대표적인 방법들이다.


1. 부당한 요구에 대해서 거절하는 능력을 가진다.

'아니오' 혹은 '싫습니다' 라고 말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어려운 일이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저해하지 않고 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는 것은 성과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어떤 요구를 받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대신에 차분히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습관을 기른다면 이것은 관계를 저해하지 않고 거절하거나 절충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된다.


2. '만약에 ~~ 하면 어쩌지?'라는 마음 속의 잡음을 버린다.

미래에 대한 과도한 걱정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일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려 성과에 큰 장애가 된다.  미래에 대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그리고 이에 대비하는 것은 필요하다.  하지만 과도한 걱정과 전략적인 사고는 전혀 다른 동물이다.  시나리오 플래닝이나 전략적인 사고의 도구를 이해해서 미래에 대비하는 것과 부질없는 걱정을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현재 가진 것에 감사한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매일 자신의 성과와 소유한 것에 감사하는 시간을 갖는 사람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의 분비가 23% 감소한다고 한다.  자신에 알맞는 방법으로 매일 감사의 시간을 갖는다.


4. 싸움에서 이기는데 목숨을 걸지 않는다.

회사에서 갈등은 피할 수 없고 주변 사람들에게 압도당하는 것은 큰 스트레스 요인이지만 모든 싸움에서 이기는 것보다는 이기는 싸움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장기적인 성장에 훨씬 더 중요하다.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을 하여 갈등 상황에서 자신에게 궁극적으로 가장 유리한 행동을 선책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5. 스위치를 끈다.

잠간이나마 회사 일을 잊는 것은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간헐적인 스트레스로 변화시킬 수 있다.  퇴근 후 혹은주말에도 업무상 메일이나 SNS를 주고 받는 행동을 줄인다. 업무 성격상 항상 스마트 폰을 키고 있어야 하고수시로 메일을 체크해야 한다면 조금씩이라도 스위치를 끄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서 일요일에는 스마트 폰을 묵음으로 해놓고 일정한 시간에만 체크하는 버릇도 도음이 될 것이다.


6. 지나간 일은 마음에서 털어 버린다.

직장 생활을 하다보면 마음의 상처를 받는 경우도 있기 마련이다.  이때 이런 상처를 계속 되삭인다던거 관련자들에 대해서 미움을 갖는 것은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안고 가는 자살행위이다.  부정적인 상황은 객관적으로 재구성하여 개선행동을 모색한다.  한편 관심이 있다면 명상이나 마음챙김(Mindfulness) 같은 활동을 하는것이 좋다.


7. 부정적인 내면의 목소리를 없앤다.

누구나 한때는 '나는 무능해', '나는 실수가 많아', '내 부하들에게 너무 가혹한 상사가 아닐까?' 같은 내면의 목소리를 경험하였을 것이다.  이런 내면의 소리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런 내면의 목소리가 들린다면 바로 그 생각들을 백지에 적고,  이 목소리들의 근거는 무엇인지? 그것이 합당한 근거인지, 부당한 근거인지?  합당한 근거라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같은 방법으로 정리하면 중립적으로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적합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카페인의 섭취를 줄이고, 적당한 운동과 충분한 수면하는 것같은 활동도 도움이 될텐데 자신의 스트레스 유형과 원인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생각한다면 좋은 관리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워크란?  (0) 2014.12.12
AAR (After Action Review)  (0) 2014.12.11
성과의 목표와 학습의 목표  (0) 2014.12.09
관찰의 힘  (0) 2014.12.08
전문가에서 매니저로의 성장  (0) 201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