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8. 8. 12:55ㆍ리더십
미국의 심리학자인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당시 가장 우수하고 모범이 되는 인재라고 인정이 되는 앨버트 아인슈타인, 엘리노어 루즈벨트, 제인 애덤스, 프레더릭 더글러스와 같은 저명 인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내면의 무엇이 그들을 이런 성공으로 이끌었는지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기형적이고 미숙하고, 건강하지 못한 대상의 심리 연구는 결국은 뒤틀어진 심리학을 만들어 낼 수 밖에 없음을 주장하고 당시 미국의 상위 1%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는 1954년 저서 “동기와 성격 – Motivation and Personality” 에서 인간동기이론을 발표하였고 그의 이론은 지금까지도 사회과학의 연구, 경영자 교육, 심리학을 기초로 한 다양한 인성 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안전,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로 구분하였고 이중 하위의 4개의 욕구를 결핍의 욕구로 규정하였다. 그는 사람은 이 결핍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그것을 채워질 때까지는 불안정한 상황에 있게 되며 생리적, 안전, 사회적, 존경의 욕구가 충족이 되어야만 사람은 좀더 높은 단계로의 발전을 추구하고 최종 단계인 자아 실현의 욕구의 실현을 추구하게 된다고 한다.
생리적, 안전, 사회적, 존경의 욕구의 충족은 꼭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어떤 순서이든 이 기본적인 결핍 욕구는 충족되어야 인간은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할 수 있다. 아래는 다섯 개 욕구에 대한 설명이다.
1. 생리적 욕구 : 사람의 생존에 필요한 욕구.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다. 공기, 물, 음식은 모든 동물에 필요한 기본 욕구이고 사람에는 의복, 주거 및 성적인 욕구 같은 것들이 해당된다.
2. 안전의 욕구 :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사람은 안전을 갈망하기 마련이다. 폭력, 학대, 모욕, 트라우마로부터의 보호가 가장 기본적인 것이고, 직업의 안정성, 권한의 남용으로부터의 보호, 장애에 대한 대책, 노후대책, 건강과 같은 것이 안전에 대한 욕구이다. 다시 말하면 안전에 대한 욕구는 신변의 안전, 재정적 안전, 건강과 행복, 사고, 질병으로부터의 보호로 요약할 수 있다.
3. 사회적 욕구 : 이 욕구는 사람의 소속감을 통해서 충족할 수 있다. 사람이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대표적인 요소는 우정, 친근함, 가족과 같은 요소가 있을 것인데, 직장에서의 소속감은 팀워크, 멘토십, 소통, 과외활동을 통해서 증진될 수 있으며 이는 성과의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4. 존경의 욕구 : 모든 사람은 존경/존중 받기를 추구한다. 사람의 행복의 중요한 요소인 자기수용/자존감 – Self-Esteem 도 결국은 존경의 욕구의 일부이다. 낮은 자존감은 심리적인 불안과 함께 성과의 저하로 연결된다. 사람에 따라서 존경의 욕구는 명예, 지위, 타인의 인정과 같은 낮은 요소로 충족되기도 하고, 내면의 힘, 능력, 기술의 숙달, 자신감, 독립심, 자유와 같은 높은 요소로 충족되기도 한다. 물론 높은 요소로 충족된 존경의 욕구는 훨씬 더 강력하고 지속적이다.
5. 자아실현의 욕구 : 위의 4가지 욕구를 만족한 사람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자신의 가지고 있는 내면의 힘과 잠재능력을 통해서 무엇을 이룰 수 있는가를 깨닫게 된다. 그것은 일상의 생활에서 충만한 삶, 혹은 예술, 운동, 학문, 발명 등과 같은 분야에서 최고의 결과로 표출된다.
매슬로우의 이론은 이후 많은 추가 연구가 실시되어 좀더 세분화되고 심화된 학설이 다수 발표되었다. 그의 이론은 특히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성과를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강화하는 근거로 보상, 근무환경, 조직관리, 승진제도와 같은 요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셜 골드스미스의 6 Questions (0) | 2018.01.23 |
---|---|
커뮤니케이션 - 1 Idea, 3 Facts, 5 Tips (0) | 2018.01.08 |
주인의식 - 퍼온 글 (0) | 2017.04.13 |
효과적인 피드백 (0) | 2017.03.21 |
긍정적 일탈 - Positive Deviance (0) | 2016.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