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1. 24. 10:52ㆍ리더십
Save the Children은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정부 아동구호기관이다. 이 기관은 오랜 기간동안 많은 구호활동을 했지만 1990년대 초반 베트남에서의 성공 사례로 유명해졌다. 당시 베트남은 다른 가난한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빈곤으로 인한 아동의 영양실조와 높은 사망율에 시달리고 있었다. 많은 구호기관들이 많은 돈을 써서 지원을 해서 효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예산이 소진되고 관심도가 떨어지면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는 악순환을 반복했다.
Save the Children은 당시 필리핀 지부장이였던 Jerry Sternin을 베트남에 보내서 농촌지역의 아동의 건강 상태를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볼 것을 요청하였다. 문제는 Sternin이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이 별로 없었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Sternin은 우선 자기가 맡은 지역의 아동들을 관찰하기 시작하였다. 관찰 결과 전반적으로 아동의 건강 상태는 열악하였는데 가장 큰 원인은 농한기에 식량이 부족하고 정부의 구호의 손길이 벽지의 농촌까지 미치지 않는다는 것.
하지만 Sternin은 이런 상황에서도 다른 아이들보다 체격이 크고 건강한 아이들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부모가 빈농이거나 육체노동에 종사하여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극빈층이 대부분이였다. 이런 긍정적 일탈에 흥미를 느낀 Sternin은 그 아이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는데 그는 아이들이 건강한 이유는 부모들의 관심과 자그마한 지혜가 전부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건강한 아이들의 부모들도 주식인 쌀이 부족했지만 밥을 지을 때 쌀과 함께 주변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나물, 고구마 순, 우렁이, 민물 게와 같은 것을 섞어서 아이들에게 먹였고, 다른 아이들은 하루 두 끼 식사를하는 반면에 이 아동들은 하루 세 끼 식사를 하게 하였다. Sternin은 이렇게 발견한 것을 마을 원로들에게 알려 주었고, 다행히 마을 원로들이 매우 개방적인 인사들이였던지 그들은 몇몇 젊은이들을 교육을 시켜서 주변 마을의 부모들에게 계몽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였고 불과 6개월 만에 그 지역의 아동의 건강이 크게 개선되고 발병율이나 사망율을 대폭 낮출 수 있었다.
이 사례는 나중에 뉴욕 타임즈에 보도되어 유명해졌고, 문제 해결을 위해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고 이렇게 긍정적인 예외 사례, 즉 긍정적 일탈(Positive Deviance) 찾아서 그것의 패턴을 명확하하여 확대적용을 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이론의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이 사례에서 기인한 것은 아니지만 조직에서 성공사례를 개발하여 확대 적용하는 Apreciative Inquiry도 비슷한 맥락의 경영도구이다. 조직에서도 문제해결 도구와 함께 이런 성공사례를 개발하여 확대적용하는 것이 더 조직원의 참여를 유발한다. 코칭에서 만난 고객들은 긍정적인 사례를 발굴하기가 어렵다고 하는데 그것은 잘못된 시각이다.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것과는 달리 대부분의 조직들은 거의 모든 상황에서 성공을 한다. 또 조직원들도 거의 모든 상황에서 성공을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 조직은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아 없어지지 않겠는가? 하지만 우리는 자신이 또 우리의 조직이 전반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것을 느끼지 못한다. 대부분의 기업의 간부들의 사고를 방지하고,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부정의 패러다임으로 일을 하도록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일탈을 발견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만약 우리가 시각을 바꾸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하여 Sternin과 같이 긍정적인 일탈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지고 부정의 시각과 긍정의 시각을 군형있게 사용한다면 조직에서의 문제 해결은 훨씬 더 쉬워지고 그 과정도 즐거울 것이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인의식 - 퍼온 글 (0) | 2017.04.13 |
---|---|
효과적인 피드백 (0) | 2017.03.21 |
중립적 언어 (0) | 2016.11.18 |
의사결정의 사각지대 - Blindspots in Decision Making (0) | 2016.11.10 |
회의를 위한 회의 (0) | 201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