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Coaching Works?

2012. 3. 18. 10:09리더십

요즈음 코칭을 시작하면서 느낀 어려움 중의 하나는 코칭을 잘 모르는 회사의 인사담당자나 임원에게 코칭이 어떻게 작용하여 회사가 원하는 효과를 내는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설명이 어렵다는 것이다신문기사나 설문조사 결과만으로는 코칭의 효과를 믿어 달라고 하는 것 보다는 좀 더 객관적인 설명을 해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코칭을 하면 수치적으로 어떻게 성과가 향상하는가? 왜 코칭이 사람을 바꿀 수 있는가에 대한 객관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 같은데 오늘은 인터넷에서 조사한 뇌신경학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코칭의 역활을 소개한다.

 

1.     우리 뇌의 신경구조는 변화한다.

 뇌에는 수천억 개의 뉴런(신경세포)가 존재하며 한 개의 뉴런은 수천억 개의 다른 뉴런과 신호를 주고 받는 시냅스를 통해 정보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가령 우리가 새로운 언어를 익히게 되면 전에는 없던 새로운 뇌의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사실은 우리에게는 정말 좋은 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 예를 들어서 새로운 악기를 배울 때 우리가 손가락으로 현을 집을 때 마다, 또는 건반을 짚을 때마다 뇌에 형성된 새로운 네트워크를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나쁜 버릇으로 악기를 다룰 때 마다 뇌의 네트워크는 나쁘게 강화된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코칭은 받는다는 것은 뇌신경학적인 의미에서는 새로운 뇌의 네트워크를 증강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치가 코칭 받는 사람에게 새로운 시각을 통해서 상황을 인식하게 하거나, 삶의 가치와 비전을 가지고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게 하는 것은 새로운 신경의 네트워크를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서 이 새로운 신경의 네트워크를 증강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코칭은 인간을 통합한다.

 우리는 자신을 세분화하고, 강점표현을 차단하도록 훈련되어 있다. 우리는 직장에서, 가정에서, 친구들과 있을 때 다르게 행동한다우리는 우리가 어떤 사람이냐는 질문을 받을 때 쉽게 한마디로 대답하지 못한다. 우리의 뇌에서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다른 일이 동시에 일어난다. 코칭은 메타포어를 사용하여 좌뇌와 우뇌간의 대화를 시도하고, 코칭 받는 사람에게 신체의 느낌에 주의하라는 요구로 마음과 몸의 통합을 시도하여 코칭 받는 사람이 자신의 가지고 있는 모든 내적 자원을 인지하고 이것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코칭은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 뇌의 깊은 곳에는 파충류의 뇌와 뿌리를 같이하는 변연계가 (Limbic System) 존재한다. 변연계는 원시인류가 외부의 위험에 대뇌 전두엽의 개입 없이 싸울 것인지 도망갈 것인지를 순간적으로 결정하게 하여 인류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 뇌의 기관이다

 

불과 만여 년 만에 과거 원시인류를 위협했던 존재들은 모두 사라졌지만 그 시간은 우리의 변연계가 현대에 맞게 진화(혹은 퇴화)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다. 그래서 우리는 전혀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외부의 자극에도, - 예를 들어서 짜증나는 메일, 마트에서의 긴 줄, 시끄러운 어린이들, 교통체증 -, 변연계가 작동하여 아드레날린이 넘쳐흐르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분비되어 자신을 자제할 수 없는 상황을 종종 맞게 된다.

 

코칭은 코치받는 사람이 변연계에서 전두엽 쪽으로 이동하여 상황에 맞은 의식적인 행동의 선택을 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전두엽은 GABA라는 물질을 분비하여 변연계를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1항에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연습은 뇌에서 전두엽과 외부상황을 인식하는 신경계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코치 받는 사람이 하여금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성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