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0. 13. 11:49ㆍ리더십
리더십과 권력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사람들은 강한 권력을 가진 리더를 따르려는 경향이 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따르는 리더는 강한 권력을 가지게 마련이다. 어떤 리더의 권력은 매우 구체적, 현실적인 반면에 한마디로 딱부러지게 설명할 수 없는 권력을 행사하는 리더도 많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프렌치(J. French)와 레이븐(B. Raven)은 권력의 원천에 따라 권력을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보상적 권력(Reward Power), 강압적 권력(Coercive Power), 전문적 권력(Expert Power), 준거적 권력(Reference Power)의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1. 합법적 권력: 대통령, 장관, 사장, 임원, 팀장, 목사, 경찰서장 등 모는 공식적인 타이틀에는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 권력이 따른다. 이 권력의 기반은 유권자의 선택, 법률, 사회의 위계질서, 문화적 규범, 조직의 규정에 있으며이 권력을 지닌 사람은 해당되는 타이틀을 잃는 동시에 이에 따르는 합범적인 권력도 잃게된다. 따라서 합법적인 권력은 프렌치와 레이븐이 규정한 다섯 가지의 권력 중 가장 불안정하다. 합법권인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에게는 이 권력이 자기가 창출한 것이 아니고 남에게서부터 받은 것이라는 인식을 갖은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보상적 권력: 권력을 보유한 사람은 추종자들에게 보상해 줄 능력이 있다. 승진, 급여인상, 좋은 보직, 교육, 심지어는 간단한 칭찬 같은 것도 리더들이 해 줄 수 있는 보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노력에 적절한 보상을 해주는 리더을 위하여 노력한다. 하지만 보상은 점점 더 커져야 보상을 받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으며 리더가 자신의 보상 자원을 모두 소진하거나, 리더의 보상이 추종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보상적 권력은 급격히 그 힘을 잃을 것이다.
3. 강압적 권력: 위협과 처벌은 추종자들로 하여금 리더의 의지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게 만든다. 해고, 좌천, 특권의 축소, 나쁜 업무의 배정 같은 것이 강압적 권력 행사의 예이다. 자신의 보직이나 타이틀이 리더에게 강압적인 권한을 부여하지만 이 권한은 추종자들로 하여금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가 힘들다. 강압적 권한은 꼭 필요한 경우에 심사숙고하여 사용해야 하며, 강압적 권력의 빈번한 행사는 조직의 분위기를 비인간적이고 착취적으로 만들어 조직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한다.
4. 전문적 권력: 만약 당신이 적절한 지식과 스킬을 통해 어려운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고, 정확한판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낸다면 주변 사람들은 당신의 의견에 경청하고 도움을 요청할 확율이 높을 것이다. 리덧의 전문지식은 부하의 신뢰와 존경을 이끌어 낼 것이다. 한 분야의 전문지식에서 발휘하는 자심감. 판단력, 합리적인 사고체계를 리더십 전반에서 발휘한다 위에서 언급한 합법적 권력, 보상적 권력, 강압적 권력의 행사 없이 효과적으로 조직을 계속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문적 권력은 리더의 의지와 노력으로 가장 쉽게 향상시킬 수 있는 권력이기도 하다.
5. 준거적 권력: 카리스마, 인간적 매력, 호소력, 경외심을 통하여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도 있다. 준거적 권력은 한 사람들이 리더를 단순히 좋아할 때 생긴다. 정치인, 저명인사들은 이런 준거적 군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기업에서 저명인사를 내세운 광고를 하는 것은 이 준거적 권력을 이용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준거적 권력은 대부분 타고 나는 경우가 많지만 리더의 끊임 없는 노력을 통해서 나타나기도 한다. 실제 조직에서 이 준거적 권력만으로는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없지만 전문적 권력과 적절하게 배합을 한다면 리더의 타이틀이나 보직에 의존하는 것보다는 훨씬 더 강력하고 지속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의 리더들은 수시로 자신이 어떤 권력을 많이 행사하고 있는지 성찰이 필요하고, 현재의 상황에서 어떤 권력의강화, 보완, 축소가 필요한지 자기 성찰이 필요하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 프로세스 모델 - Dunham and Pierce's Leadership Process Model (0) | 2014.10.22 |
---|---|
Appreciative Inquiry (0) | 2014.10.16 |
허츠버그의 동기위생이론 - Herzberg's Motivator and Hygiene Factors (0) | 2014.10.10 |
터크만의 그룹발전단계 (0) | 2014.10.07 |
변혁적 리더십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0) | 201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