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감성 리더십의 여섯 가지 유형

Algeruz 2014. 10. 27. 10:42

감성지능 연구의 선구자인 미국의 심리학자 대니얼 골만(Daniel Goleman)은 그의 동료인 리처드 보이아치스(Riachrd Boyatzis), 애니 맥키(Annie McKee)와 함께 '감성리더십(Primal Leadership)'란 저서를 통해 6개 유형의 감성 리더십을 소개한 바 있다.  그들은 감성리더십에는 조직의 화합과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내는데 유용한 네가지의 타입과 특수 상황에 유용한 긴장을 야기하는 두가지의 리더십이 있으며, 훌륭한 리더가 되려면 상황에 맞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화합과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리더십에는 비전형(Visionary), 코치형(Coaching), 관계중시형(Affiliative), 민주형(Democratic)의 네가지가 있고 긴장을 조성하는 리더십에는 지시형(Commanding)와 모범형(Pacesetting)이 있는데 이 두가지 리더십은 아주 특수한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1. 비전형 리더십 : 높은 수준의 공감능력과 설득력이 필요한 리더십. 조직에 큰 변화가 있을 때, 혹은 명확한 목표가 필요할 때 비전형 리더십이 필요하다.  비전형 리더는 목표를 제시하고 조직원의 공감을 얻는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비전형 리서십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더는 전문지식의 습득, 자존감을 높이는 훈련, 공감능력, 프리젠테이션 스킬의 향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비전형 리더십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비전의 제시와 함께 비전에 도달하는 과정에 필요한 다른 리더십의 배양이 필요하다.  너무 자주 사용하면 조직원들이 피로감을 느낄 수 있으며,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나, 리더보다 경험이 많은 팀에는 후에 나오는 민주형 리더십과 같이 사용해야 한다.


2. 코치형 리더십 : 코치형 리더십은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융화시키는 것과 조직원의 성장에 가장 큰 중점을 두고 있다.  코치형 리더십의 스타일은 긍정적이고 격려와 인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조직원과의 깊이 있는 대화를 통하여 목표를 달성하고, 조직원의 성장을 도모한다. 코치형 리더십은 리더가 조직원들을 잘 알고 있을 때 성과를 발휘하며, 이를 위해서 리더는 코칭/멘토링의 스킬의 습득이 필요하고, 조직원들의 니즈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코칭형 리더십은 경험이 일천하거나 업무의욕이 떨어지는 직원에게는 적합하지 많으며,우선 지시형/모범형 리더십과 적절한 피드백과 지시로 그들의 기본적인 수준을 향상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3. 관계중시형 리더십 : 관계중시형 리더십은 조직내의 하모니를 가장 큰 목표로 한다. 조직원 간의 소통, 협동, 갈등해소를 추구하며, 관계중시형 리더는 구성원의 감정을 잘 읽고, 그들의 감성적인 니즈의 해결에 관심을 갖는다.  관계중시형 리더십은 조직 내에 갈등이 존재하거나 조직이 어려운 상황을 겪고, 높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을 때 유용하다.


4. 민주형 리더십 : 민주형 리더십은 조직원들 간의 협조, 전체적인 의사결정과 목표달성 과정에서 조직원들의 적극적인 기여를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시보다는 직원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하며, 직원들간의 협조, 학습, 기여를 위한 장을 마련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진다.  민주형 리더십은 다양한 문제해결의 방식, 의사결정의 방식을 습득을 통해 패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기회를 가짐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경정콰 질문의 스킬이 필요하다.  민주형 리더십은 직원들이 동기부여가 되어 있고, 독자적인 전문지식이 있을 때 유용하다.


5. 모범형 리더십 : 모범형 리더십은 성과와 목표 달성에 포커스를 맞춘다. 그들은 조직원들로부터 탁월성을 요구하며 문제가 있을 때 적극적인 개입을 하며 목표를 달성하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 리더십은 단기적인 목표달성에 유용하며, 리더는 목표달성과 문제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들을 잘 알고 있다(6 Sigma, 가이젠 등). 이리더십을 지속적으로 사용한다면 조직원들의 피로와 이직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6. 지시형 리더십 : 지시, 강압, 묵시적인 처벌의 위협을 바탕으로 한 리더십이며, 구성원의 만족도와 창의성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높다.  이 스타일의 리더십은 위기 상황에서만 필요하며 남용되지 않도록 리더는 주의해야 한다.


모든 리더들은 위의 여섯 가지 리더십 중 몇가지 유형에 속할텐데, 자신의 조직가 구성원에게 가장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가 고민하여 필요한 리더십을 배양하는 한편 조직의 성장이나 외부 상황의 변화에 맞추어 리더십 스타일을 바꾸는 지혜도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