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프로세스 모델 - Dunham and Pierce's Leadership Process Model
1989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랜달 던함(Randall Dunham)과 존 피어스(Jon Pierce)는 그들의 저서 'Managing'을 통하여 실제적이면서 장기적인 목표로서의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들의 리더십 프로세스 모델은 리더, 팔로우어, 상황(Context), 결과(Outcome)의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과정이며 좋은 리더는 상황에 따른 유연성을 발휘하는 동시에 그들의 팔로우어들과의 관계에 장기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리더십 프로세스의 모든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리더는 자신, 팔로우어, 상황에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면서 좋은 결과를 도출해야 하며, 좋은 결과는 리더, 팔로우어, 상황에 다시 좋은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을 만들어 낸다.
이런 선순환을 창출하기 위해서 리더에게는 아래왁 같은 행동이 요구된다.
1. 피드백: 상사의 적절한 피드백은 아마도 부하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리더는 의식적으로 좋은피드백 방법을 익히고 실행해야 하며, 피드백은 부하의 성장, 인간관계의 개선, 성과의 달성이라는 의도를 가지고 행해야 한다. 좋은 피드백을 통하여 부하가 성장하고, 상황에 좋은 영향을 주고, 결국은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내는 선순환을 만들 수 있다.
2. 작용과 반작용의 인식 : 어떤 상황하에서도 리더의 행동, 결정, 발언은 부하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리더의 모든 행동에는 그에 따른 반응이 있기 마련이며, 부하들의 반응은 상황과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리더는 항상 자신의 행동, 결정, 발언이 부하들에게서 어떤 반작용을 야기시키는지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부정적인 반작용을 야기하는 자신의 행동이 있다면 의식적으로 수정하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결국은 부진한 성과, 사기저하, 이직율의 상승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리더가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고 부하들의 훌륭한 롤 모델이 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3. 정직과 도덕성 : 조직에서 상하 관계는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할 때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신뢰받는 리더는 팔로우어들이 진심으로 추종함은 물론, 리더가 지시한 것보다 더 좋은 성과를 위해서 기꺼이 자신의희생을 감수한다. 리더의 언행에는 진정성이 있어야하며, 정직함과 성실을 바탕으로 한 리더십을 발휘함과 동시에 자신의 어떤 행동이 조직내의 신뢰를 높이는 것인지 항상 고민해야 한다.
4. 상황에 맞는 리더십 : 현대경영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는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 Leadership)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조직, 모든 부하에게 한결같이 적용할 수 있는 리더십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리더는 개별적인 부하, 상황에 맞는 지휘 방식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한다. 긴급상황에서 부하들에게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소통하고, 육성의 기회를 주는 방식의 리더십이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리더는 자신의 성향, 팔로우어, 상황에 대해서 생각하고 여러가지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이해를 제고해야 한다.
5. 사려 깊은 업무분장 : 리더는 업무를 배분할 때 직원들이 그들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일을 통해서 성장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흥적인 업무 배분이나, 본인의 편리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업무배분은 지양해야 하고 과제, 상황, 부하들의 능력이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업무 분장을 끊임없이 추구해야 한다.
6. 인간관계의 개선 : 리더는 자신의 성장이 부하들에 달려있고, 부하의 성장이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부하들과의 관계는 신뢰, 존경, 투명성을 바탕으로 해야 하며, 부하들과의 인간관계가 깊어질수록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리더는 자신의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를 향상시키고 부하들과 공감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고, 성과를 낸 부하에게 적절한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Intrinsic & Extrinsic Reward)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전반적으로 리더십 프로세스 모델은 리더가 장기적은 안목을 가지고 적절한 방향을 설정한 후 끊임없이 의식과 행동의 개선을 시도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보람과 기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