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의지력과 버릇

Algeruz 2014. 3. 11. 09:51

 

 

 

2006년 호주의 심리학자인 메간 오튼과 켄 쳉은 훈련을 통해서 얼마나 사람의 정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을 했다. 그들은 20여명의 일반인을 모집하여 약 두 달 간의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이 프로그램은 참가자들과의 합의에 의해서 반강제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들은 매주 강도를 높혀가면서 웨이트 리프팅, 인내력 훈련, 에어로빅 과정에 참가하였다.  시간이 갈수록 그들은 체육관에 도착하면 자발적으로 높은 난도의 활동에 참가하였고 의지력도 향상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두 달 후 심리학자들은  이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했는데, 모든 참가자들이 음주와 흡연을 줄였고, 커피, 정크푸드를 멀리하고 티브이를 보는 시간을 줄이고 가사와 직장생활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간단한 실험은 한 분야에서 향상된 의지력은 인생의 다른 분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한편으로는 활발한 신체활동이 정크푸드나 기호음식에 대한 욕구를 줄인다는 가설도 성립되기 때문에 

그들은 다른 각도에서 다시 실험을 실시했다.   이번에는 29명을 모집하여 4개월 간의 금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그들은 참가자들로 하여금 4개월 동안의 저축계획을 세우게 하고 고급 식당에서의 외식, 영화관람 같은 기호 활동을 줄이고 꼼꼼히 금전출납부를 기록하도록 요구하였다.  참가자들은 처음에는 이런 활동을 매우 귀찮아 했으나 결국은 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심리학자들은 다시 참가자들의 생활 전반의 변화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는 앞의 실험과 마찬가지...  사람들은 흡연과 음주를 줄이고 정크푸드와 나쁜 버릇을 멀리하게 되었고, 삶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직장에서도 더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결국은 위의 두 실험을 통해서 이 심리학자들은 사람의 의지력은 훈련을 통해서 향상되고 한 분야에서 향상된 의지력은 사람의 다른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학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만약 상사가 자신의 팀에게 필요한 행동 한두가지만 지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강조하여 그 행동을 팀 전체의 버릇, 묵시적인 행동규범으로 만드는 것을 성공한다면 개개의 팀원들은 이 과정에서 향성된 의지력으로 회사 생활의 다른 부분에서도 행동의 개선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사의 메시지....  광고업계에서는 한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달하는데 최소한 15회 정도는 반복해야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또, CEO나 상사의 경영방침이나 주요 관심사를 조직원에게 이해시키는데는 같은 메시지를 약 50회 정도는 반복해야 한다는 보고도 있다. 같은 내용을 50회 정도 반복해야 한다니 내가 좁쌀영감 같은 잔소리꾼으로 인식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텐데 부하들이 상사가 진정으로 부하의 성장을 바라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면 큰 거부감은 없지 않을까?.  

 


                                                                                                                                        - Power of Habbit, Charles Duhigg 에서